본문 바로가기

책읽기

책리뷰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95082603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

예일대 정신과 나종호 교수가 들려주는 공감과 연결의 이야기. 저자는 마치 사람 도서관처럼 자신의 환자들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 다리를 놓아줄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www.aladin.co.kr

책소개
‘사람 책’을 대여해주는 사람 도서관에서는 내가 ‘빌린’ 사람과 30분 동안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소수 인종부터 에이즈 환자, 이민자, 조현병 환자, 노숙자, 트랜스젠더, 실직자 등 다양한 사람이 그들의 값진 시간을 자원한 덕에 이 도서관은 유지된다. 타인을 향한 낙인과 편견, 혐오를 완화하고 이해와 존중, 공존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덴마크에서 처음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이제 전 세계 80여 개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다.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뒤, 자살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픈 생각에 정신과 의사로 전향한 예일대학교 나종호 교수는 첫 책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에서 사람 도서관 ‘사서’를 자처한다. 저자는 마치 사람 도서관처럼 자신의 환자들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 다리를 놓아줄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책에는 저자가 미국 메이요 클리닉과 뉴욕대학교 레지던트를 거쳐 예일대에서 중독 정신과 전임의(펠로우)를 하는 동안 만난 다양한 환자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말 그대로 인종도, 성별도, 나이도, 직업도, 성 정체성도 제각각이다. 공통점은 모두 사회적 약자이자 소수자라는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를 대신해 들려주는 이유는 분명하다. 이야기의 힘을 믿기 때문이다. 저자는 “정신과 환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향한 대중의 낙인과 편견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법은 낙인이나 차별의 대상이 되는 집단 구성원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라고 말한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는 “삶의 많은 문제는 사람을 향한 오해와 낙인 그리고 혐오에서 온다. 심리적 문제를 앓고 있는 사람들, 소수 인종, 성소수자. 이들에 대한 오해만 걷어내도 우리 삶은 자유로울 것”이라며 “이 책이 우리에게 그런 자유를 맛보게 해준다”는 추천사로 일독을 권했다.

 

 

지속적 애도 장애를 겪는 사람의 시계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순간에 멈춰 있습니다.

저자는 임신중에는 약물을 무조건 끊어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약을 처방할 때 의사는 환자가 얻을 혜택과 위험성을 비교해 결정을 내립니다.

감정을 인지하는 과정은 편도체에만 의존한다기보다는 매우 복잡한 뇌의 기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보통 우울증 환자는 과거의 선택을 자주 반추한다고 합니다.

 

저자가 정신과 레지던트로 일할 때, 응급의학과 근무를 일주일 남짓 남겨둔 어느 날 받은 건장한 60대  환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불과 두 달 전, 마찬가지로 응급실에서 내가 진료를 했던 환자였다. 은퇴한 의대 교수였던 그는 심각한 우울증과 알코올중독을 앓고 있었다. 의사로 근무하는 동안 매우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고 운동을 한 번도 거르지 않았던 건장한 이 60대 환자는, 이전까지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은퇴 후 운동을 하다가 부상을 입었고, 그토록 즐겨하던 운동을 하지 못하면서 우울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내 술로 우울증을 달랬다.'

공감 전문가 윌리엄 밀러 박사는 공감의 조건 3가지를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가치 있는 일임을 인지하는 것, 내가 모든 관심의 중심이 되지 않고자 하는 의지, 다른 사람에게서 더 배울 것이 많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라고 했다.

30대 후반의 테디는 거의 매달 응급실에 오다시피 하는 단골 환자였다. 어느 여름이었다. 테디가 여느 때처럼 응급실을 방문했는데 이번에는 혼자가 아니었다. 그는 아주 작고 귀여운 강아지 한 마리를 데려왔다. 주머니에 들어갈 정도로 작아서 이름을 '포켓'이라고 지어주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변호사 스티븐의 아내는 임신 중 사망했습니다.색전증이란 혈전이 혈류를 이동하다가 동맥을 막는 이 증상 때문이었습니다. 

저자가 근무한 적 있는 미국의 급성 입원 병동은 환자와 외부인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없는 폐쇄 병동으로 조현병이나 조울증 환자뿐 아니라 심각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환자들을 주로 치료하는 곳이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지속적인 애도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복합성 애도 또는 지속성 애도 장애라고 한다.